중점과제 소개
목적
장애인의 건강을 증진하고, 장애로 인한 이차적인 질환이나 장애를 예방하며, 장애인의 의료이용의 불평등을 해소하여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함
추진방향
- 장애인의 건강증진 서비스 요구도의 미충족 필요의 장애요인 규명
- 지역사회 중심의 건강증진시스템 마련
- 장애인의 건강행태 관리 및 2차 장애 예방정책 강화
- 장애인의 건강기능지표개발 및 적용
세부 추진계획
- 국가단위의 장애인 건강통계 산출 및 확대
- 장애인 건강 관련 국가통계 확대
- 가 단위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축
- 장애발생예방사업 강화
- 후천적 장애발생 예방을 위한 전 국민 대상 장애예방 교육·홍보 실시
- 사고로 인한 후천적 장애예방에서 질병으로 인한 장애예방까지 확대한 포괄적 교육·홍보 사업 실시
- 대상별 장애예방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기자재 개발·보급
- 장애인 강사 적극 발굴 및 강사모임 지원
- 관련 기관 역할분담 및 교류협력을 추진하여 전국적인 후천적 장애예방 추진체계 구축
- 장애인의 건강증진 및 이차장애 예방정책 강화
- 보건소를 중심으로 중증장애인 등 방문을 통한 건강검진 강
- 장애유형별 건강검진 매뉴얼 개발·보급
- 장애인 음주율, 흡연율, 비만율, 식습관 등 건강행태 조사 및 심층분석 시행
- 장애인 건강증진 정책 개발
- 재가 장애인의 자가관리능력 향상, 만성질환 관리, 이차질환 예방 및 관리, 안전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 및 교육 실시
- 장애범주와 의료보장의 지속적 확대
- 장애범주 및 장애판정기준 개선 추진
- 장애인 시설 내 치과 유니트 지원 및 청각장애아동 인공와우 수술비 지원사업 확대
- 의료급여수급 장애인 대상에서 전체 장애인에 대한 본인부담금 지원 확대
- 지역사회 중심의 건강증진시스템 구축
- 거점보건소를 중심으로 재가장애인 재활서비스 확대
- 권역별 재활병원의 의료서비스 질 강화 및 연계기관 네트워크 구축
- 장애인 종합서비스 제공 인프라를 갖춘 의료기관에 예산 지원
-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 홍보 실시
- 장애인 건강관련 서비스 요구도 파악
- 장애인 건강의 미충족 필요도 조사 실시
- 장애인의 건강 요구도를 반영한 건강관련 서비스 정책 개발
- 장애인 건강기능지표 개발 및 적용악
- 다양한 기능평가도구와 환경적 영역까지 포괄하는 장애인 건강기능지표 개발
- 장애인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건강지수 개발
- 장애인 건강상태 정보에 대한 DB 구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