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점과제 소개
목적
체계적인 건강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·강화하여 건강증진사업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함
추진방향
- 건강증진서비스 전달체계의 지역 인프라 확대
- 건강증진개발원 지부 설립 및 운영
- 보건소 건강증진담당 인력 확충 등 역량 강화 추진
- 건강생활지원센터 설치 운영
- 공공병원 건강증진사업 전담부서 설치 및 활동 강화 지원 추진
- 민간부문 건강증진사업 참여 확대 추진
세부 추진계획
- 건강생활지원센터 설치지원
만성질환 관리와 건강생활습관 관리 등 통합적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민 밀착형 전담기구 설치 지원
- 보건소 건강증진인력의 역량강화 사업
- 단계별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·훈련 실시
- 지자체장 인식개선사업 실시
-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인력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 고도
- 건강증진인력의 적정성 평가를 통한 건강증진사업의 적정인력 기준 마련
- 지역거점 공공병원 중심의 건강증진 인프라 확대
- 공공병원 건강증진사업 전담 부서 설치 여부 및 활동 실태조사, 기능강화 방안 연구사업 추진, 사업 계획 및 추진 지원 등
- 기존 공공보건의료사업과 연계성 확보 및 건강증진서비스 업무내용 개발과 공공병원 차원의 환경개선에 대한 활동 지원
-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도시 활성화
- 중앙 및 지방정부 등에서 자체적으로 건강영향을 검토할 수 있는 도구 및 방법의 개발
- 수행된 건강영향평가의 질 및 효과 평가
- 지역사회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 및 실행계획 수립(지역보건의료계획에 포함)
- 건강도시의 건강증진 인프라 확대를 위한 지원
- 지방자치단체의 건강증진사업 지원체계 강화
- 지자체 건강증진사업의 전략 수립 및 평가, 정책환류 지원 기구인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시도지부 설치 타당성 연구
- 지자체 맞춤형 건강증진사업 컨설팅 실시
- 지자체 건강증진사업 지원단 통합모형 개발
- 건강증진 관련 범 부처 거버넌스 확립
- 전 부처의 종합계획의 국민건강증진 업무가 연계되도록 협업과제 발굴
- 관계부처 및 민간전문가 참여 국민건강증진심의위원회 운영을 통해 추진현황 점검 및 협업 활성화
- 전문위원회 운영활성화
- 건강증진종합계획의 연차별 실행계획 수립
- 상시적 HP2020 성과 모니터링 체계 구축
- 분야별 심포지움, 세미나 등 실시를 통한 사회적 관심도 제고 노력
-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및 평가를 위한 정보·통계관리체계 마련
- 중앙정부 및 지자체 단위 통합 모니터링 체계 구축
- 웹기반 통계수집 및 근거 자료제공 서비스 실시
- 건강증진사업 성과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
- 지자체 보건사업의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개발 및 평가체계 확립
- 보건사업의 성과가 낮은 지자체에 대한 지원체계 마련
- 건강증진 지식관리체계 구축
- 건강증진 지식관리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를 통한 시스템 구축·운영
- 근거기반 건강증진지식 전문가 포럼 운영
- IT기술을 적용한 건강증진정보화 추진
- 건강증진 통합정보화시스템 구축·운영
- IT 기술을 접목한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개발 및 수행
- 민간부문 건강증진사업 참여 확대
- 기업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활용한 건강증진사업의 민간참여 확대
- 민간보조사업의 건강증진기금 지원 근거 마련을 위한 평가 강화
- 한의약 건강증진 평가정보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
- 건강증진기금 재원구조 개편
- 기금사업의 범위 및 관리기준 정립, 평가체계 구축
- 기금사용이 HP2020과 연계될 수 있도록 예산 지원체계 개편
- 건강불평등 대상의 건강증진활동 향상 정책 개발 및 예산지원
- 건강증진기금의 건강보험 가입자 지원 및 추가재원 확보방안 검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