홈
세부지표현황
>
안전환경보건
>
식품안전
>
중점과제 소개
식품안전
중점과제 소개
목적
- 식품안전관리수준을 선진화하여 국민의 건강 증진 및 식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함
추진방향
- 식품안전 환경변화에 대응을 위한 추진방안 마련 및 현재 추진 중인 사업 발전방향 제시
- 수입식품의 안전성 강화 및 식품위해물질 유입 사전차단을 위한 인프라 강화
- 음식점 위생듭급 평가제도 정착을 위한 평가 인프라 확대
- 국제기준과 비교하여 격차가 큰 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
- 외식업체의 위생수준 향상을 위한 업소 인증제 실시화
세부 추진계획
- 식중독 예방 및 관리
- 중앙부처·지자체·관련단체 합동「식중동 예방 종합대책」마련시
- 학교 급식소, 청소년 수련시설 등 식중독 발생우려 시설 집중 지도·점검
- 학교급식 식재료 공급업체 관리 강화
- 식중독 예방 홍보·교육 강화
- 지하수 사용 시설에 대한 노로바이러스 상시감시체계 강화
- 식중독 원인규명 향상을 위한 식중독 원인체 통합 DB 구축
- 수입식품의 안전성 제고
- 수입식품의 무작위표본검사 비율을 유동적으로 조정하고 수입자 의무 책임 강화
- 주요 수출국(중국, 동남아권 등)의 사전 현지정보 수집 강화
- 해외제조업체 사전 등록 관리 및 수입이력 분석 등 집중 검사
- 축산물 수출국에 대한 위생평가 절차 및 기준 마련
- 식품안전관리 인증 확대
- HACCP 적용업체 확대 및 지속 추진
- 농가 등 전문 컨설팅 지원 및 집유장 HACCP 관리 강화
- HACCP 도입·확대를 위한 컨설팅 지원
- 중소업체 대상 기술 및 시설개선자금 등 지원
- HACCP 적용 업체에 대한 효율적 사후관리 강화
- 소비자가 HACCP 제품만 믿고 구매하도록 홍보 강화
- 음식점 위생등급제 확대
- 음식점 위생등급 평가 실시 및 법적 근거 마련진
- 우수업소 홍보 및 재정 지원
- 음식점 위생등급 결과의 신뢰성 유지를 위한 재평가 실시
- 기후변화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식품안전관리 강화
- 최근 5년간 주요 수출국의 기후변화 추이 파악에 의한 향후 예측
- 기후변화에 따른 오염·잔류 가능성이 있는 유해물질 중점검사항목 선정